인권연구자 집담회

인권 관련 연구를 하는 학내 교원 및 연구자들이 인권에 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서로의 연구와 경험을 나누며 토론할 수 있는 공간으로, 2022년부터 정기적으로 집담회를 열고 있습니다. 여러 전공 영역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전통적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인권 이론, 방법론 또는 세부 인권 주제에 대해 서로 발표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인권 연구에 대한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14차 국민의 법감정의 중층성과 유동성: 집합적 차원의 권리감정과 질서감정 (공두현, 법학전문대학원) (2024.6.11.)

13차 감정의 인종정치학: <사소한 감정들><H마트에서 울다> (김정하, 영어영문학과) (2024.5.21.)

12차 러시아우크라이나 침략범죄 특별재판소 설립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함의 (이혜영, 국제대학원) (2024.4.3.)

11차 가려진 불안정 노동: 크라우드 기반 플랫폼 노동을 중심으로 (권현지, 사회학과) (2023.11.29.)

10차 유럽인권재판소 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수자 인권보장과 지역인권재판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신윤진, 법학전문대학원) (2023.10.24.)

9차 다양성위원회의 제도 개선 노력: 정책 제안 경과 (배유경, 다양성위원회), 다양성위원회의 제도 개선 노력: 미래세대인식조사 연구 사례  (허정원, 아시아연구소) (2023.9.13.)

8차 이주구금 헌법불합치 결정의 의미와 개선입법의 쟁점 (최계영, 법학전문대학원)

71945년 이후 아시아의 대량학살과 집단기억: 국제화된 기억은 가능한가? (서지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2023.4.26.)

6차 유엔인권조약기구의 한국 관련 개인통보 결정에 대한 전반적 검토 (원유민, 법학전문대학원) (2023.3.29.)

5차 성소수자 건강권과 의료, 왜 필요하고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윤현배, 의과대학) (2022.11.22.)

4차 학부생에게 인권문제를 어떤 방식을 교육할까? 사례발표 (김범수, 자유전공학부) (2022.10.18.)

3차 성폭력 피해아동 진술 관련 문제 (홍진영, 법학전문대학원) (2022.9.21.)

2차 어떤 반차별 정책이 소수자를 아프게 하는가 (김승섭, 보건대학원) (2022.6.20.)

1차 인권연구 집담회 소개 (이주영, 인권센터), 인권연구 조감도: 분야, 주제, 방법론 (송지우, 정치외교학부) (202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