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 English, go to: http://hrc.snu.ac.kr/en/courses/asia/2014_reviews


강좌소개
<인권과 아시아>는 아시아라는 구체적인 지역적인 맥락에서 인권의 보편성에 대해 생각하고,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인권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한국인 참가자 11명을 포함하여 총 22개국에서 39명의 참가자가 2주간 서울대학교에 모여서, 인권 분야의 전문적 경험을 지닌 국내외 전문가들의 강의를 집중적으로 들었습니다. 강좌기간 동안 총 16개의 강의가 진행되었고, 각 강의마다 할당된 읽을거리가 있었습니다.
이 강의에는 3시간 동안 주어진 주제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게 토론하는 세미나 형식의 강의와 강사가 자신이 연구와 현장경험을 통해 탐구한 바를 집중적으로 전달해주는 강연 형식,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주요 인권 쟁점에 대해 소그룹 별로 발표를 하고 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방식, 영화를 통해 해당 인권 쟁점을 둘러싼 역학을 이해하게 하는 방식, 또 캄보디아 국제정의재판 의제와 관련하여 일하고 있는 현지 활동가와의 국제화상통화를 통해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 등 매우 다양한 형식의 강의들이 포함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매 강의마다 활발한 토론을 벌였습니다. 토론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다양한 국가에서 자신들이 보고 경험한 바를 적극적으로 나누며 비교정치학적인 안목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법학부터 국제관계학, 인류학, 사학, 사회학, 보건학에 이르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연구자, 언론인, 정부기관이나 학교에서 일하는 법률가, 그리고 인권∙개발단체 활동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참가자들은 각자의 특성을 십분 살린 질문들로 수업시간이 더욱 즐거워지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는 아시아 내 인권에 대해 간학제적인 접근을 양성하려는 본 강좌의 목표와도 맥을 같이 했습니다.

강의와 수업시간 중 토론 외에도, 그룹활동도 참가자들이 아시아의 인권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다루기 위해 쓸 수 있는 전략을 상상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6~8명이 한 조가 되어 현재 아시아 지역에 존재하는 인권 이슈를 하나 고르고 그것을 국제인권메커니즘을 통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를 연구했습니다. 열흘 동안의 토의와 고민을 거쳐 각 조는 강좌기간 막바지에 모든 참가자 앞에서 발표를 하고 피드백을 받으면서, 국내 차원으로만은 해결하기 어려운 인권문제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다룰 수 있을지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누렸습니다. 강좌기간의 마지막을 장식한 것은 각 참가자들이 아시아 지역의 인권과 관련하여 자신의 연구계획이나 인권옹호활동 계획을 발표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연구/옹호활동 계획을 준비하는 데 있어 참가자들은 본 강좌를 기획한 이주영 박사(서울대학교 인권센터)와 해당 주제에 대해 논의하도록 독려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가자들은 강사들로부터 뿐만 아니라 동료 참가자들로부터도 많은 영감과 배움을 얻을 기회를 가졌습니다.
강좌에서 다룬 주제들

2주간 참가자들에게 제공된 16개의 강의에는 국제인권규범 및 국제적인 인권보호 장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강의와 아시아 의 구체적인 인권 문제와 사례를 분석할 수 있는 강의들이 포함되었습니다. UN인권협약과 인권과 관련된 UN 산하 기관들의 역할과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정리한 강의와 아세안 인권선언 같이 최근에 아시아 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인권 메커니즘에 대해 배우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강의는 국제정치제도적인 차원에서 ‘인권’이 어떻게 다뤄지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인권과 아시아>의 가장 핵심적인 강점은 바로 아시아의 구체적인 지역적 맥락에서 ‘인권’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여러 아시아 국가에 존재하는 정치적 및 역사적 맥락들이 이 지역의 인권 상황에 어떤 조건으로 작용했는지를 일반론적인 논의는 물론이고 구체적인 인권문제 해결과 관련한 실제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했다는 점입니다. 예컨대 아시아 여러 사회의 젠더 역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군사주의나 전지구화, 근본주의 같은 역사문화적 결을 고려해야 한다는 강의나 권위주의 정권이 있는 사회에서 인권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아시아 지역의 인권 문제를 사고하는 데 있어 중요한 영감을 제시했습니다. 인권에 대해 ‘실제적으로’ 사고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은 북한이탈주민의 인권, 아시아 지역의 개발, 빈곤을 비롯하여 특정 인권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수준은 물론이고 그를 넘어 이 문제들을 어떻게 다루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의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국의 ‘진실과 화해를 위한 위원회’ 활동이나 캄보디아의 인권재판을 둘러싼 역학에 대한 사례 탐구, 그리고 시민사회가 아시아 지역 내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종합적인 강의는 모두 우리가 ‘인권과 아시아’라는 주제를 탁상공론의 수준을 넘어선 차원으로 끌고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소위 ‘인권의 보편성과 문화상대주의 사이의 긴장’ 속에서 다양한 층위 혹은 종류의 인권이 서로 충돌하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도 우리는 실제 살아 움직이는 사람들을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기본적이지만 가장 실제적인 답을 얻었습니다.
[http://www.thedailystar.net/law-and-our-rights/fostering-human-rights-study-10760]
참가자들의 후기
[정리: 임유경, 인권연구부]
"두 주 간 진행되었던 '인권과 아시아' 강좌를 통해 제가 갖고 있던 몇 가지 목록은 더 길어졌습니다. 그리고 그로 인해 제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먼저, 저는 좋아하는 교수님이 더 많아졌습니다. 버지니아 단단 교수님과 조효제 교수님과 같이 대한민국 안팎에서 저명하신 교수님들과 실제로 일선에 나서서 인권을 위해 일하고 계시는 분들의 강의를 들을 수 있었던 것은 제게는 큰 영광이었습니다. 그분들의 한 마디 한 마디가 제 마음 속 깊이 자리잡아 제 꿈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둘째로, 저는 읽고 싶은 책이 많아지고 해야 할 일이 늘어났습니다. 이 강좌를 통해 제게는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고, 제 꿈에 다가가기 위한 뚜렷한 목표와 앞으로의 연구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끝으로 중요한 또 한 가지는, 이제 여행할 곳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이 강좌에서, 세계 서로 다른 곳으로부터 온 매우 뛰어난 참가자들을 만날 수 있었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진 그만의 고유한 우수함을 닮고 싶어졌습니다. 머지 않아 강좌에서 만난 친구들의 나라를 방문하면서 재회할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곳 한국에서는 한국인 참가자들 사이에서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우리 안에서 지속적인 발전과 더 끈끈한 사이를 만들어가도록 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무척 기쁘게 여기고 있습니다. '인권과 아시아' 강좌는 매우 많은 면에서 제게 무척 즐겁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만약, 내년 혹은 앞으로 이 강좌를 듣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주저함 없이 참여하라고 적극 추천하고 싶습니다. 특히,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분명 예상하는 것, 혹은 상상하는 것의 그 이상을 얻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박은선(한국)
친 리다(캄보디아)
라이언 빌러루얼(필리핀)
라리사 커스텐(독일)
클라리스 에스토니노스(필리핀)